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로소득세 계산 및 자동 계산방법

2023. 5. 23.

목차

    근로소득세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근로계약을 하고 근로를 하는 경우에 근로소득을 받게 되는데 이 에 부과하는 세금을 근로소득세라고 합니다. 

     

    오늘은 근로소득세의 정의와 근로소득세 계산, 그리고 근로소득세율까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세란 

    근로소득세는 직정에서 근로의 대가로 지급받는 소득에 대해서 부과 및 징수되는 세금입니다. 매월 급여를 받을 때마다 근로소득세라는 명목으로 일정 금액을 공제하는데 이를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세액을 차감하여 실제 지급받는 실수령액이 달라집니다. 더불어 부양가족 여부에 따라 과세표준 구간별 세율 적용방식도 차이가 있습니다. 

     

    근로소득세 세율 

    근로소득세율은 8개 구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소득이 올라갈수록 근로소득세율도 증가하고 3억 원을 초과하는 임금을 받는 경우 기본세율 40% 적용됩니다. 

     

    하지만 과세표준 구간은 대략적인 기본세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로 내가 부양하는 가족수나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근로소득세 계산 

     

     

    근로소득세 계산이 어렵고 복잡하다면 자동으로 계산이 되는 근로소득세 자동 계산기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홈택스에는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근로소득세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택스 홈페이지 '조회/ 발급'메뉴→ 에서 '간이세액표'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메뉴에서 급여액, 공제대상 가족수, 공제대상 가족 중 7세 이상 20세 아하 자녀수를 선택, 조회를 하면 근로소득세 자동계산이 됩니다. 

     

    공제대상 가족 수가 없다면 1명 (본인포함)으로 체크해 주시고, 월 급여액이 일정 금액 이하 일시 계산기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근로소득세 계산 결과 보통 일반적인 회사에서는 100%를 기준으로 활용하는데 80% 기준이라면 연말정산에서 내야 할 세금이 많아지고 120% 기준이라면 연말정산 이후 환급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소득과 가족수에 따라 납부해야 하는 금액을 정해놓은 표입니다. 각 급여액과 가족수에 따라서 세율과 납부액이 달라집니다. 

     

    동일한 급여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공제대상가족의 수가 1명의 경우보다 공제대상가족수의 수가 2명 3명 그 이상인 경우가 부양가족을 위해 쓰는 지출이 많기 때문에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이 많습니다. 

     

    근로소득_간이세액표(조견표) (3).pdf
    0.40MB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홈택스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 발급 - 간이세액표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확인할 수 있는 간이세액표에 대한 자료를 첨부해 두었으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