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택연금 가입조건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젊은 세대부터 노후 준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한 공적연금 제도를 통해 노후를 대비하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점이 현실입니다. 또한 인구 고령화로 인해 앞으로 국민연금 수령액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택연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변경된 주택연금 가입조건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주택연금은 소유한 주택을 덥보로 하여 일정 기간 또는 평생 동안 연금을 받은 제도입니다. 주택 소유자로서 자신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은 만 55세 이상으로 지금까지는 주택가격 공시가격이 9억 원으로 제한돼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주택연금 활성화 및 주택가격 급등 등으로 인해 주택연금 주택가격 공시 가격이 12억 원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번 변경된 주택연금 가입조건 12억은 주택금융공사 내규개정 등을 거쳐 법 공포일로부터 3개월 후인 10월 중 시행될 예정입니다. 다주택자라도 합산 가격이 12억 원 이하이면 가능할 예정입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대상 주택
주택연금 가입조건 대상 주택으로는 주택법상 주택, 노인 복지 주택, 주거목적 오피스텔이 해당되며 실제 거주로 이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가입주택을 전세나 월세를 주고 있는 경우에는 주택연금 가입조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주택연금 가입을 하게 되면 내가 받을 수 있는 주택연금 수령액은 얼마인지 궁금하실 겁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을 직접 할 수 있도록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하면 자신의 주택 가치와 원하는 지급방식을 입력하여 주택연금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은 주택의 가치, 연령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되므로 정확한 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해서 한국주택금융공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 장단점
주택연금은 노후대비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택을 덤보로 하여 평생 또는 일정 기간 동안 거주하고 평생 연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주택연금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와 일정한 수입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부부 중 한쪽이 먼저 사망하더라도 연금소득에는 차등 없이 지급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택연금에도 몇 가지 단점도 있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집값 상승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주택의 가치가 상승해도 주택연금액은 변동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값이 하락할 경우에는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주택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경우에는 추가 수익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택연금을 고려하시는 분들은 자신의 주택 가치와 주택 시장의 동향을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지 신중하게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3.06.07 - [분류 전체보기] - 기초연금 40만원 알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