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동산을 취득하면 지방세인 취득세가 부과됩니다. 이는 동산이나 부동산 등의 자산을 취득한 이에게 부과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부동산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청 군청, 구청에 60일 이내에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에서도 취득세 신고가 가능합니다. 취득세 신고기간 이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20%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취득세를 간혹 공시지가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지만 취득세는 매매가 기준이며 취득가액에 따라 취득세율이 달라지며 조정대상지역과 이외의 지역으로 구분되고 주택 수에 따라 다릅니다.
부동산 취득세율
1 가구 1 주택 취득세율은 주택 가액에 따라 1~3% 로 정해져 있습니다. 지역 관계없이 금액에 따라 6억 이하는 1%, 6억 ~ 9억 이하는 1~2%, 9억 초과는 3%의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1 가구 2 주택자의 경우 조정대상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조정대상지역이라면 취득가액에 상관없이 8%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비조정지역의 경우 1 가구 2 주택 취득세율은 1~3%입니다.
3 주택자의 경우 조정대상지역 취득세율은 12%, 비조정지역은 8%의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부동산 취득세 계산방법
대략적인 취득세를 계산해 보고 싶다면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취득세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게 취득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 홈페이지 메인 메뉴에 있는 지방세 미리계산 메뉴에서 취득세를 선택하고 취등록원인, 매매가, 취득일자등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바로 취득세 계산이 완료됩니다.
농어촌 특별세 (전용면적 85m2 초과 주택만 부과)
부동산을 취득했을 때 전용면적 85m2 초과 유무에 따라 농어촌특별세를 내거나 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용면적 85m2 이하인 경우에는 농어촌특별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초과할 경우에는 1 주택자의 경우에는 0.2%, 2 주택 이상인 경우에는 조정대상지역 유무에 따라 차등적으로 과세됩니다.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양도세 계산기)
주택을 팔 계획이 있는 분이라면 양도소득세가 얼마나 나올지 예상을 하고 있어야 나중에 머리 아픈 상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특히 매번 달라지는 양도소득세율 체계나 공제 항목등은 일반인
tlflwmzpdj.tistory.com
지방교육세 (취득가액에 따라 과세)
부동산 취득가액 및 다주택자, 조정대상지역 유무에 따라 지방교육세는 차등적으로 적용됩니다. 1 주택자가 6억 원 이하 주택을 취득한 경우 0.1% 지방교육세를 적용합니다. 9억 원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지방교육세율 0.3%가 적용됩니다.
오늘은 부동산 취득세율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위의 내용은 2020년 8월부터 적용되고 있는 내용이며 현재 취득세 중과 완화 방안이 국회를 통과한다면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율이 절반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토정비결 무료 2023 (보기)
나의 미래나 앞으로 다가올 앞날이 궁금할 때 2023년은 어떤 일이 일어날지 궁금해서 토정비결을 한 번쯤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토정비결을 보기 위해서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tlflwmzpdj.tistory.com
최신 청와대 관람신청 예약 간단해요 (바로가기)
대한민국 대통령의 관저 겸 집무실이며 외국 귀빈 접대나 비공식 회의 장소로 이용되는 곳 바로 청와대입니다. 아이들 체험학습으로도 좋고 어른들에게도 색다른 경험이 될 수 있어 청와대 관
tlflwmzpdj.tistory.com
근로소득세 계산 및 자동 계산방법
근로소득세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근로계약을 하고 근로를 하는 경우에 근로소득을 받게 되는데 이 에 부과하는 세금을 근로소득세라고 합니다. 오늘은 근로소득세의 정의와 근로소득세 계
tlflwmzpdj.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