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1 취득세 감면 대상 취득세 감면 대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재산을 취득하게 되면 취득세를 납부해야 하는데 유형에 따라서 취득세도 매우 큰 금액입니다. 그런데 이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이번 시간에는 취득세 감면 대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취득세 감면 대상 - 농지 귀농인이 직접 경작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농지와 임야에 대해서 취득세의 50%를 감면해 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2021년 12월 31일 종료 예정이었으나 2024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연장되었습니다. 귀농일로부터 3년 이내에 취득하는 농지 및 농지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농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취득하는 임야에 대해서 취득세의 50%를 감면해 줍니다. 농지 취득세 감면 조건은 홈페이지에서 자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 2023. 7. 20. 증여세 계산방법 오늘은 증여세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녀 또는 배우자에게 증여를 생각하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증여를 생각하고 있는 분이라면 증여를 하기 전 미리 증여세 계산을 통해서 증여세가 얼마나 나오는지 예상 증여세를 계산하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증여세 계산 방법을 알아보고 증여세를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자동계산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증여세 증여세는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취득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 즉 무언가를 대가 없이 받는 것에 대한 세금입니다. 세법 개정으로 가족 간의 계좌이체도 증여로 간주하여 세금을 내야 합니다. 증여세는 면제한도를 벗어나는 금액을 과세표준에 맞는 세율로 증여세를 부과합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 증여세 .. 2023. 7. 20. 2024년 최저임금 월급 얼마? 오늘은 2024년 최저임금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내년 최저임금이 19일 확정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과연 내 월급은 2024년에 얼마나 오를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밤샘회의를 벌인 끝에 19일 2024년 최저임금을 확정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4년 최저임금을 알아보고 주휴수당 포함한 최저 월급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최저임금 2024년 최저시급은 9,860원으로 23년에 비해 2.5% 올랐습니다. 2024년 최저시급 결정을 앞두고 노동자 측은 1만 원을 사용자 측은 9,860원을 제시했습니다. 총 26명이 표결에 참여해 17명이 사용자 측 찬성하면서 9.860원으로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 2024년 최저임금 결정안 👆 2024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 2023. 7. 19. 주택연금 가입조건 (변경된) 주택연금 가입조건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젊은 세대부터 노후 준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한 공적연금 제도를 통해 노후를 대비하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점이 현실입니다. 또한 인구 고령화로 인해 앞으로 국민연금 수령액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택연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변경된 주택연금 가입조건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주택연금은 소유한 주택을 덥보로 하여 일정 기간 또는 평생 동안 연금을 받은 제도입니다. 주택 소유자로서 자신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은 만 55세 이상으로 지금까지는 주택가격 공시가격이.. 2023. 7. 18. 이전 1 ··· 3 4 5 6 7 8 9 ··· 28 다음